"우리는 모두 기획자다"
안녕하세요. 봄이 오는 소리는 들리는 것 같지만 코로나 19 때문에 봄을 반길 겨를이 없는 시기입니다. 내 몸은 내가 지키자는 마음으로 건강 잘 챙기세요. 최근 인상 깊게 읽은 책 '기획자의 습관'을 소개하려고 합니다.
글쓰기 관련 책들을 찾다가 추천 책으로 '기획자의 습관' 이 생뚱맞게 자리를 잡고 있어서 왜일까 하는 호기심으로 구매를 해서 읽어보게 된 책입니다.
우리의 삶은 기획의 연속으로 완성된다고 할수 있습니다. 기획자라고 하면 거창하고 멋있어 보일 수 있지만 우리 모두가 각자 삶의 기획자 인 셈이죠. 내 삶의 기획자로써 스스로 점수를 매긴다면 괜찮은 삶이라고 할 수 있을까? 의문입니다.
기획자라고 하면 얼핏 떠오르는 특징이 관찰력이 남다르고 생각이 비정상이라 할정도로 독특한 사람? 정도로 생각이 됩니다. 하지만 이 책을 읽은 후 바뀐 생각은 남들보다 더 자세히 관찰하고 조금 더 깊게 공부를 하고 아이디어를 더 넓혀가는 사람이 기획자인셈이다.
저자가 말하는 기획이란?
-말로 하는 언어, 말이 아닌 암호, 표정, 제스처, 음악, 회화, 건축 모두가 의미를 실어 나르는 '기호'가 된다. 이 기호들을 이해하고, 의미를 공부하고, 그 의미가 더 이상 필요 없게 될 때는 과감히 해체하여 재구축하는 과정을 기획이라 부름.
책이 전문성이 있지만 내용이 무겁지 않고 어렵게 느껴지지 않습니다. 저자가 기획자로서의 삶을 사는동안 느끼고 깨달은 내용을 독자들의 입장에서 쉽게 풀어쓴 느낌이 듭니다. 이 책을 읽으면서 배우게 된 것과 느낀 점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
1. 기획자의 생활습관
-생활의 발견
기획은 거창하게 아니라 '어떻게 하면 되지?'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이다.
어떻게-방법, 하면-실행, 되지?-효과에 해당한다.
-관찰의 힘
관찰은 변화의 지점을 찾아내는 것, 즉 관심이다. 내가 가장 부족한 부분이다.
회사 동료뿐만 아니라 가족의 바뀐 헤어스타일, 액세서리 등 모든 것에 무관심하다.
-정리력
금방 취득한 경험과 정보는 내 머리속에 오래 남아 있지 않다. 그것이 정리가 필요한 이유다.
그 순간을 몽땅 기록하라. 참석인원,표정,말투,날씨,제스쳐 등등.
2. 기획자의 공부습관
-공부는 노력이다
우리의 모든 활동은 생명 유지 활동의 일부이다. 공부도 마찬가지로 잘 살기 위한 생명유지 활동이다.
세상엔 내가 아는 것보다 모르는 것이 더 많지만 모르는 것들을 줄여가자.
-나의 독서이론
남자라면 다섯 수레의 책을 읽어야 한다고 하지만 난 양보다 질로 승부할 테다.
여러 권의 책을 많이 읽는 것보다는 양질의 책을 여러 번 읽는 게 더 좋다고 생각한다.
-대화의 격률
대화는 상대의 말을 해독하는 경청과 이해 과정과 나의 생각을
상대가 해독할 수 있는 언어로 암호화하여 전달하는 말하기 과정으로 구성된다
-표현 학습법
완전한 내 지식이 되려면 말할 수 있는 것이 되어야 한다.
학습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표현의 기술이 필요하다.
3. 기획자의 생각 습관
-생각의 두 관점
경험이냐? 직관이냐? 그것이 문제로다.
-발사의 힘
왜?라는 질문은 기업의 본질이자 존재 이유, 그리고 경영철학이다.
오래가는 브랜드의 핵심은 우리는 왜 존재하는가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이다.
-천 개의 눈, 천 개의 길
가급적 '이 정도면 충분하다'의 결과를 지연시킬 것, 충분한 것은 결코 충분하지 않다.
저자 최장순은 언어학을 전공하고 기호학과 철학을 공부하고 지금은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살아갑니다.
전문가는 괜히 전문가가 아니라는 생각이 들면서 이 책이 왜 글쓰기 관련 추천도서에 있었는지 이해가 되었습니다.
첫째 글의 진심이 느껴지며 솔직해서 좋고, 둘째 문장들이 간결하고 가독성이 좋습니다.
독자들을 고려하면서 책을 쓴 배려가 글들에서 느껴집니다.
자신의 삶을 들여다보고 현재의 나와 미래의 인생을 디자인해보고 싶다면 이 책을 추천합니다
구글 포토 백업 및 사진 관리를 이용하면 좋은 점은? (0) | 2020.03.06 |
---|---|
소상공인 사업자대출 우선순위로 고려할 곳은? (0) | 2020.03.04 |
사이트맵 (0) | 2020.03.03 |
전동 킥보드 면허가 필요할까요? (0) | 2020.03.01 |
군번 조회 및 전역 일자 확인하는 간단한 방법 (0) | 2020.02.27 |
댓글 영역